임용이야기

중등임용 영어 2차 준비 Tip 2: 시책과 교육관

재니스탑 2022. 1. 5. 15:47

큰 계획을 세우셨다면, 이제는 작은 계획을 하나하나 해결할 차례입니다. 2일 전 1월 3일에 경기교육 2022 시책이 나왔습니다. 일단 시책을 다운받으셔서 천천히 꼼꼼히 읽어보세요.

 

2022 경기교육 주요업무계획(안).pdf
4.06MB
시책에 나오는 핵심 요약본입니다.

이제 시책 내용을 어느정도 알고 있다면,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교육관, 교사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미 교육관이 정립된 분들도 있겠지만, 시책을 읽어야 자신의 교육관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고, 간혹 교육관이 현 교육 정책에 맞지 않는 경우도 있어 시책은 꼭꼭 읽고 면접장에 들어가셔야합니다. 교육관이 정립되어야 시연, 나눔에도 녹여낼 수 있습니다.

 

시책을 정리한 다양한 자료가 인터넷에 많이 있습니다. 요약본을 보는 것도 좋지만 꼭! 시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세요. 조금 어렵다면 사이다나 면접레시피 등 유명한 책의 도움을 받아도 좋습니다. 저는 처음에 시책을 혼자 읽다가 정리하기 버거워서 시책 스터디를 했습니다. 타과 분과 한 챕터씩 읽고 4문제를 각자 출제하여 하루에 총 8문제를 풀고, 이를 다시 정리했습니다. 이 과정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고, 면접, 나눔, 집단토의 등 모든 과정에서 쓰였으니 혼자하기 힘들다면 스터디를 구해보세요.


Tip 2: 시책과 교육관 알아두면 좋을 내용

 

1. 현 교육 정책에 맞지 않는 교육관 예시

획일화된 교육(주입식 등), 교사 중심/교과서 중심의 교육, 과도한 통제 중심의 교육, 단순 암기 등

 

2. 제가 (지금도) 갖고 있는 교육관 예시

'적정 교육' : 개별화교육, 맞춤형 교육,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수업

저는 이 교육관을 고등학교 때부터 가지고 있었고, 제가 2020년 임용 2차를 봤던 시책의 '교육과정 재구성', 교수평기 일체화 등과 결합시켜 어떻게 학생 중심의 교육을 할 것인지 교육관을 정립하고 2차 시험을 보러 갔습니다. 이처럼 내가 어떤 교사가 되고 싶은지, 어떤 마인드로 수업을 구성할 것인지 교육관을 찾아보세요.

 

3. 시책을 볼 때는 생소한 내용이 나오면 바로 구글링하기

ex. 배움중심수업이 어떤 수업일까? -> 구글에 배움중심수업 찾기 -> '교육청에서 나온' pdf 등 다운받아 읽어보기

https://www.historyclass.net/open_pds/6720

 

경기역사교육실천연구회 - 2021 경기도 중등배움중심수업 수업공감 온앤오프

경기도 교육청의 2021 중등배움중심수업 수업공감 온앤오프 pdf 자료입니다. 역사교과 파트에 저희 연구회에 계신 한세웅(중등)쌤, 김지현(고등)쌤의 사례도 있습니다!

www.historyclass.net

-> 읽어본 후 고민하기(내 수업에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까? 내 교과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올까?)

 

4. 지금 교육청과 학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

  • 고교학점제(교육과정 다양화) -> 교육과정 클러스터, 온라인공동교육과정 등 학생들이 원하는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 교사를 양성/선발하고 있습니다. 학생이 원하는 수업을 제공하려면 학생 수요에 맞춘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수입니다.
  • 학습안전망 강화 -> 코로나19로 인해 기초학력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 방과후 비용을 대폭 지원하는 등 여러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작년에는 강사 초청 외 방과후가 0개였으나 올해는 교육청으로부터 몇천만원을 지원받아 방과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성장중심평가 -> 이제는 점수제가 아닌 서술제로, 학생의 성장 과정을 지켜볼 수 있는 피드백이 포함된 평가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 마을교육공동체 -> 학교는 끊임없이 지역사회와 학부모를 학교로 부르고 싶어합니다. 농어촌학교에서 일한다면? 주위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등 다양한 지역사회 활용 방법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